본문 바로가기
Cinematic/기초 및 이론

와이드샷 · 클로즈업 · 미디엄샷

by Classic Master 2025. 5. 4.
728x90

왜 이 3가지를 먼저 알아야 할까?

영상을 보다 보면 자주 보이는 장면들이 있어요.

어느 영상은 인물이 작게 나오고 배경이 넓게 보이고,
어떤 장면은 인물의 표정이 화면 가득 들어오기도 하죠.

이게 바로 ‘샷의 종류’예요.
특히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건 바로 이 세 가지입니다:

  • 와이드샷 (Wide Shot)
  • 미디엄샷 (Medium Shot)
  • 클로즈업 (Close-Up)

이 세 가지만 알아도
영상 전체를 구성할 수 있을 정도로 기본이자 핵심이에요.


샷이란 무엇인가요?

샷(Shot)은
카메라가 한 번 촬영해서 만들어낸 하나의 장면이에요.
이 샷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감정, 정보,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샷은 단순한 ‘거리 차이’가 아니라
‘어떤 감정을 전달하고 싶은가’에 따라 선택돼요.


와이드샷 (Wide Shot)

와이드샷은 말 그대로
배경과 인물이 함께 넓게 잡히는 샷이에요.
인물이 작게 보이거나,
공간 전체가 강조되는 장면에서 자주 등장하죠.

보통 이런 장면에서 쓰여요:

  • 인물이 외롭게 느껴져야 할 때
  • 주변 환경을 보여주고 싶을 때
  • 이야기의 스케일을 넓게 보여주고 싶을 때

예시)
사막 한가운데 혼자 걷는 인물.
멀리서 찍혀 있어서 인물이 작고,
주변 풍경이 탁 트여 있는 느낌.
→ 외로움, 고독, 방황이 느껴짐.

※ 영화 ‘노매드랜드’의 오프닝처럼
사람보다 풍경이 주인공처럼 느껴지기도 해요.


미디엄샷 (Medium Shot)

가장 기본적이고 흔히 사용되는 샷이에요.
보통 인물의 허리부터 머리까지 나오는 정도로,
표정과 제스처를 동시에 담을 수 있어요.

대화 장면이나 인터뷰,
일상적인 장면에서 주로 사용돼요.

예시)
두 사람이 카페에서 이야기하는 장면.
각자의 말투, 손짓, 표정이 다 같이 보여야 하죠.
→ 편안함, 친근함, 균형감이 느껴짐.

※ 영화나 드라마의 대부분 대화 장면은 이 샷이 기반이에요.


클로즈업 (Close-Up)

감정을 확실하게 전달할 때 쓰는 샷.
카메라가 인물에게 아주 가까이 다가가서
얼굴, 손, 물체의 일부분을 화면 가득 담습니다.

감정 변화, 긴장감, 디테일한 묘사에 탁월하죠.

예시)
주인공의 눈가에 맺힌 눈물,
떨리는 손끝,
중요한 버튼을 누르기 전 손의 움직임

→ 긴장, 결심, 감정 폭발을 시각적으로 전달

※ ‘기생충’에서 부자의 표정 변화나
‘조커’에서 거울 앞에서 웃는 얼굴을 클로즈업으로 보여준 것처럼요.


이 세 가지를 어떻게 조합하느냐가

영상의 ‘리듬’을 만듭니다

영상을 만들다 보면
이 세 가지 샷을 어떻게 섞을까가 중요해져요.

예를 들어 감정을 따라가는 구성은 이렇죠:

  • 와이드샷: 상황 설명
  • 미디엄샷: 인물 소개
  • 클로즈업: 감정 전달

이 흐름이 잘 어우러지면
영상이 자연스럽고 시네마틱한 느낌을 줘요.


제가 영상 찍으면서 처음 깨달은 점

초기에는 클로즈업만 찍고 싶었어요.
감정이 드러나니까 멋져 보였거든요.
근데 막상 영상을 이어보면
답답하고, 맥락이 부족하더라고요.

그 이유는,
클로즈업은 맥락이 없이 쓰면
‘감정은 있는데 이유는 안 보이는’ 영상이 돼버려요.

그래서
와이드샷 → 미디엄샷 → 클로즈업
이렇게 흐름을 만드는 연습을 하다 보니
내 영상도 감정을 담는 구조가 생겼어요.


오늘의 핵심 요약

  • 샷은 단순한 거리 차이가 아니라
    이야기의 흐름과 감정을 설계하는 도구다
  • 와이드샷: 배경, 외로움, 스케일
  • 미디엄샷: 대화, 인물의 균형, 안정감
  • 클로즈업: 감정, 디테일, 긴장감
  • 이 세 가지를 어떻게 조합하느냐가
    시네마틱한 영상의 기본 구조가 된다

오늘의 용어 정리

용어설명
Wide Shot (WS) 인물과 배경을 함께 보여주는 넓은 구도. 분위기와 공간 설명에 사용
Medium Shot (MS) 인물의 허리~머리 정도를 담는 기본 구도. 대화나 행동 표현에 적합
Close-Up (CU) 얼굴, 손 등 특정 부분을 강조해 감정을 보여주는 샷
Establishing Shot 장면 시작 전에 전체 공간을 소개하는 샷. 보통 와이드샷이 해당
Insert Shot 특정 사물(예: 손, 발, 물건)을 클로즈업처럼 따로 담은 보조 샷
Reaction Shot 상대방의 반응을 담은 샷. 감정 흐름 전달에 사용됨
 

다음 글 예고

4강. 샷 하나로 분위기가 바뀐다
‘샷의 거리’에 감정을 입히는 방법,
지금보다 훨씬 디테일하게 알려드릴게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