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줌 인과 돌리 인 – 감정의 밀도를 조절하는 기술
+ 줌과 달리의 차이, 활용법, 그리고 ‘돌리 줌(Vertigo Effect)’까지 완전 정리
카메라가 피사체에 가까워진다.
하지만 그 방식에 따라 감정의 깊이와 전달 방식은 완전히 달라진다.
바로 오늘 이야기할
줌 인(Zoom In)과 돌리 인(Dolly In)이 그런 예다.
겉보기에 비슷해 보여도
전혀 다른 영상 연출 결과를 만들어낸다.
1. 줌 인(Zoom In)
개념
줌 인은 카메라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렌즈만 조작해 피사체를 확대하는 방식이다.
특징
- 관찰자의 시선
- 피사체는 강조되지만, 배경과의 관계는 흐려짐
- 초점심도(Depth of Field)가 얕아지고, 배경이 흐려지는 보케(Bokeh) 효과 발생
- 원근감 감소 → 평면적인 화면
- 감정적 거리감이 유지됨
활용 목적
- 정보를 빠르게 전달하고 싶을 때
- 시선을 고정시키고 싶을 때
- 배경보다 인물 자체에 집중하고 싶을 때
예시
- 다큐멘터리, 뉴스
- 스릴러 장면의 긴박한 전환
- 갑작스러운 심리적 포커싱
2. 돌리 인(Dolly In)
개념
돌리 인은 카메라가 직접 피사체 쪽으로 이동하면서
인물에 다가가는 연출 방식이다.
보통 카메라 레일이나 스테디캠을 활용한다.
특징
- 몰입형 시선
- 피사체와 배경의 관계가 살아 있음 → 입체적 공간감 형성
- 초점심도가 깊음 → 움직임이 많아도 초점 유실이 적음
- 관객이 감정 안으로 걸어들어가는 듯한 느낌
활용 목적
- 감정을 따라가며 몰입시키고 싶을 때
- 감정의 긴장감과 압박을 부드럽게 전달하고 싶을 때
- 공간적 흐름을 유지하고 싶을 때
예시
- 감정의 고조, 감성적 장면
- 한 인물의 내면을 깊게 들여다보는 클라이맥스 장면
- 인물과 공간의 관계 강조
3. Zoom vs Dolly 정리
비교 요소줌 인돌리 인
카메라 위치 | 고정 | 이동 |
연출 방향 | 피사체 확대 | 피사체 접근 |
초점심도 | 얕음 | 깊음 |
배경 묘사 | 흐려짐 (보케) | 선명, 입체 |
원근감 | 없음 | 있음 |
감정 효과 | 분석적, 거리감 | 몰입적, 감정 집중 |
4. 줌 + 달리 동시에?
‘Dolly Zoom(돌리 줌)’ 또는 ‘Vertigo Effect’
줌과 달리를 동시에 사용하는 기법도 있어.
바로 그 유명한 ‘버티고 효과’다.
어떻게 작동하나?
- 카메라는 전진(Dolly In)
- 동시에 Zoom Out (또는 그 반대)
→ 피사체는 크기가 유지되는데
→ 배경만 왜곡되듯 휘어지거나 멀어짐
연출 효과
- 감정적 왜곡
- 현실의 균열
- 불안, 어지러움, 충격
활용 영화
- 《Vertigo》 (1958, 알프레드 히치콕)
- 《Jaws》 (1975, 스티븐 스필버그)
- 《The Lord of the Rings》 시리즈
활용 팁
- 장면이 심리적 전환점일 때
- 공간이 비틀리는 듯한 시각적 표현이 필요할 때
- 과용은 피할 것! 연출의 강조 도구로만 사용
5. 촬영자 입장에서 느낀 실제 팁
제가 초보였을 때는 줌 인만으로 감정을 표현하려 했어요.
하지만 돌리 인으로 연출을 바꾼 순간,
장면이 살아 숨쉬는 듯 느껴졌어요.
→ 줌은 ‘관찰’이고,
→ 돌리는 ‘몰입’이라는 걸 직접 체감하게 됐죠.
둘 다 훌륭한 도구이지만,
“어떤 감정을 주고 싶은가”에 따라 선택이 갈려야 합니다.
📚 오늘의 용어 정리
용어의미
줌 인(Zoom In) | 렌즈를 당겨 피사체를 확대 |
돌리 인(Dolly In) | 카메라가 직접 피사체에 다가가는 이동 촬영 |
초점심도 | 초점이 맞는 거리 범위. 깊을수록 넓게 선명 |
보케(Bokeh) | 배경이 흐려지며 빛망울처럼 번지는 효과 |
Vertigo Effect | 줌+달리를 동시 사용해 공간 왜곡을 주는 연출 |
다음 강의 예고
7강. 카메라 시점의 비밀 – 1인칭, 3인칭, 오버더숄더 완전 정리
→ 시점만 바꿨는데도 몰입감이 완전히 달라진다?
→ 인물의 눈으로 볼지, 제3자의 시선으로 볼지,
→ 이것도 연출의 언어다.
#줌인촬영기법 #돌리인연출 #카메라감정연출 #영상몰입도 #시네마틱기법 #카메라이동연출 #촬영심화강의 #초점심도 #보케효과 #영상연출차이
728x90
반응형
'Cinematic > 기초 및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메라의 움직임 (0) | 2025.05.05 |
---|---|
샷 하나로 분위기가 바뀐다 (0) | 2025.05.04 |
와이드샷 · 클로즈업 · 미디엄샷 (1) | 2025.05.04 |
좋은 영상이란? 감정을 담는 ‘구도’의 힘 (0) | 2025.05.03 |
시네마틱 영상의 비밀: 카메라 연출 기법 제대로 알기 기초 (0) | 2025.05.03 |